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왜, 그리고 어떻게?
최근 몇 년 사이 인공지능(AI)은 의료, 금융, 제조, 국방, 교육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은 놀라운 정확도와 성능을 자랑하며 사람보다 나은 판단을 내리는 경우도 많아졌죠. 그러나 그만큼 "왜 그런 결정을 내렸는가?", "무엇을 근거로 그렇게 판단했는가?" 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하는 필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XAI란 무엇인가?
XAI는 말 그대로 AI가 내린 판단이나 예측 결과에 대해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공지능을 말합니다. 단순히 정답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그 판단의 이유와 근거를 사용자 또는 개발자가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죠.
예를 들어, AI가 어떤 이메일을 '스팸'으로 분류했다면, "왜 이 이메일이 스팸으로 판단되었는지" 설명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메일 본문에 특정 단어가 있었는지, 보낸 주소가 의심스러운 도메인인지 등 말이죠.
왜 XAI가 필요한가?
1. 신뢰성과 투명성 확보
AI가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경우 (예: 대출 승인, 자율주행, 암 진단 등), 사용자와 관련 기관은 그 결과를 신뢰해야 합니다. 설명 가능한 모델은 이러한 신뢰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2. 책임성과 규제 대응
AI의 결정에 문제가 생겼을 때,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이 필요합니다. 특히 유럽연합의 GDPR과 같은 법적 규제에서는 "자동화된 의사결정에 대한 설명 권리"를 명시하고 있기도 합니다.
3. 모델 디버깅 및 개선
모델이 잘못된 판단을 내릴 경우,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어야 합니다. XAI는 AI 모델을 이해하고 디버깅하는 중요한 도구가 됩니다.
XAI는 어떻게 구현되는가?
XAI는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모델 내재적 설명 (Intrinsic Explainability)
모델 자체가 해석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하는 방식입니다.
예: 결정 트리(Decision Tree),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등은 구조 자체가 사람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2. 사후 설명 기법 (Post-hoc Explainability)
복잡한 블랙박스 모델(예: 딥러닝)에 대해 외부적으로 설명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LIME (Local Interpretable Model-agnostic Explanations)
- SHAP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 Grad-CAM (이미지 분류에서 사용되는 시각적 설명 기법)
XAI의 도전 과제
- 설명성과 성능의 균형: 설명 가능한 모델이 종종 성능이 낮은 경우가 있습니다. 설명성과 정확도 사이의 균형은 여전히 연구 주제입니다.
- 사용자 맞춤형 설명: 전문가와 일반 사용자가 원하는 설명의 수준과 형태가 다르므로, 이를 적절히 맞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 설명의 신뢰성: 설명이 인간에게 납득 가능한 동시에, 실제 모델의 작동 원리와 일치해야 합니다.
마치며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은 단순히 기술의 진보라기보다, 사회적 책임과 윤리, 신뢰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의 다음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AI가 사람과 함께 일하고 결정하는 시대가 되면서, "이해할 수 있는 AI"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푸닥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LO와 Probability Calibration: 객체 탐지 모델의 신뢰도 높이기 (0) | 2025.07.19 |
---|---|
Likelihood(우도)란? – 확률과 다른 관점에서 데이터를 바라보다 (0) | 2025.07.12 |
소버린 AI(Sovereign AI)란 무엇인가 – 기술 자립을 향한 인공지능 전략 (0) | 2025.07.12 |
Natural Language to SQL: 자연어로 데이터베이스 조회하기 (0) | 2025.06.03 |
Local LLM을 활용한 AI 에이전트 (0) | 2025.05.30 |
댓글